본문 바로가기

영화관을나오면다시시작되는

(13)
관종의 세계 (2019, 크리스탄 오로에트 외 4명) 0 유튜브, 그 작은 네모의 세계 1 모든 게 거짓이라고 느껴진다. 나는 스마트폰 안의 사람들의 세상, 광장의 진실을 알 수 없다. 보이는 게 진실이라지만 진실이 진정 보이지 않는 것이라면? 보여지는 것은 과연 진실일까? 편집된 세상. 정말로 편집되어버린 세상. 2 두 개로 갈라진 세계 하나는 화면 앞 하나는 화면 뒤 3 마치 삶이 유튜브 안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오랫동안 핸드폰의 작은 화면으로 유튜브를 보고 난 뒤 화면을 끄면, 남은 것은 어두운 화면 뿐이다. 유튜브 속에는 생동감 넘치는 다른 세계가 존재하고, 모두가 잠든 새벽의 고요 속에서 나는, 적막한 또 다른 세계에서 힘없이 숨쉬고 있는 기분이다. 그런데 그 작은 화면을 비집고 들어갈 수는 없다. 나는 여기 넓은 세계에 있다. 유튜브가 아닌..
찬실이는 복도 많지 (2019, 김초희) *스포주의 / 영화관련 내용 거의 없음 주의 지난달 초에 처음으로 독립영화 극장을 찾았다. 집에서 vod나 스트리밍으로 독립영화를 봐왔어도 직접 극장을 방문한 적은 처음이였다. 이 영화를 본지가 한 달이 넘었는데 이제야 리뷰를 쓴다. 솔직히 말하면 난 이 영화가 재미없었다. 일단, 화면구도가 너무 좁은 느낌이어서 전체적으로 답답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주인공 찬실을 연기하는 분의 연기가 너무 어색했다. 영화를 보기 전에 연극하시던 분을 섭외했다는 인터뷰를 봐서 그런지 영화 내에서도 연극톤이 나타난 느낌이었다. 차라리 이 내용이 소설이었다면 나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든 그래서 이 영화가 썩 인상깊게 느껴지지 않았었다. 그런데, 이상하게 자꾸 생각이 났다. 이 글을 쓰는 블로그 카테고리명이 '영..
아멜리에 (2001, 장피에르 죄뇌) *스포주의 누군가가 그랬다. 누가 누군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Joy라는 말이 좋다고. 삶을 사랑하고 소중히 대하는 걸 다 떠나서 Joy. 즐기는 게 좋은 거라고. 작게는 순간, 길게는 삶을 어떻게 대해야 될 지 잘 모르겠을 때가 있다. 무기력하게 누워 있다가 하루를 날렸을 때, 찾는 물건이 눈에 보이지 않아 짜증이 밀려올 때, 다이어트 강박 때문에 맛있는 쿠키를 앞에 두고 망설일 때, 이런 순간들마다 삶에 대한 고민으로 생각이 확장된다. 명확한 신념도, 긍정적인 사고 회로도, 좋은 습관도 없으니까 자주, 그리고 깊게 어떤 구렁텅이에 빠져버리는 것이다. 시작은 미약하게, 하지만 끝에선 이미 빠져나오기 힘든 어둠 속을 헤매이게 된다. 그래서 때때로 장기적이고 확실한 관성같은 걸 갖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
결혼이야기 (2019, 노아 바움백) *스포주의 나에게는 여러 가지 '인생영화'들이 있다. 보통 어떤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흐름이 좋다'이고, 다른 하나는 '영화가 전하는 메세지가 좋다'이다. 대표적으로 나에겐 애니메이션 가 전자의 이유로 인생영화가 되었고, 는 후자의 이유로 인생영화가 되었다. 그런데 '영화' 자체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부터, 그러니까, 영화의 내용과 형식, 영화가 나에게 주는 의미,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 등 전반적인 영화를 둘러싼 모든 것들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인생 영화'가 되는 이유도 다양해지고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런 이유들 중 가장 특별하다고 꼽을 수 있는 표현이 생겼다. 이 글의 카테고리 제목이기도 한, '영화관을 나오면 다시 ..
윤희에게 (2020, 임대형) *스포주의 넷플릭스 상단에 올라와있을 때만 해도 별 관심이 없었다. 쀼의 세계를 열심히 봐서, 배우 김희애가 영화 포스터에 있는 게 눈에 띄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릭조차 안했다. 그런데 내가 구독하고 있는 채널인 소그노에서 이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상을 보게 되었고, 남은 내용을 마저 보지도 않고 바로 넷플릭스 어플을 켜서 를 관심 영화에 담았다. 알바를 안하는 날, 해가 중천에 떴을 때 일어나 괜히 기분이 나빴던 날에 힐링을 하자며 넷플릭스로 를 보았다. 뭔가 거대하고 묵직한 공기가 내 가슴 깊숙히 들어왔다가 스르르 빠져나간 기분이 들었다. 그 공기의 부피만큼 내 안에 어떤 공간이 만들어졌다. 는 이런 느낌을 주는 영화였다. 이 영화는 넓고 추운 공간에서의 작고 따뜻한 사랑을 그린다. 한국과 일본이라는..